말씀요약
• 우리중에 이루어진 사실에 대하여 (그리스도를 예비하는 세례요한)
-. 1장에서 요한에 대해 나오지만 건너뛰고 본문 3장이 되어서야 광야에서 외치는 자로 등장하게됩니다.
-. 말씀.(눅3:1)
1 디베료 황제가 통치한 지 열다섯 해 곧 본디오 빌라도가 유대의 총독으로, 헤롯이 갈릴리의 분봉 왕으로, 그 동생 빌립이 이두래와 드라고닛 지방의 분봉 왕으로, 루사니아가 아빌레네의 분봉 왕으로,
2 안나스와 가야바가 대제사장으로 있을 때에 하나님의 말씀이 빈 들에서 사가랴의 아들 요한에게 임한지라
-. 예수님보다 6개월 앞선 요한은 A.D26년경에 사역을 시작하게 됩니다.
-. 팔레스타인은 4지역으로 나눠져있는데, 디베로의 황제 빌라도와 세명의 분봉왕 헤롯, 빌립, 바빌레네가 통치하는 시대; 무질서과 믿음 없음과 시대적 암울과 문제 투성이었던 시절에 안나스와 가야바가 대제사장으로 있을 때에 빈들에서 요한에게 하나님의 말씀으로 임하신 것입니다.
1. 하나님께서는 주신 말씀을 받은 사람; 세례요한
-. 세례요한은 자기의 생각과 욕망과 철학과 마음으로 전하는 것이 아니라 오직 하나님의 말씀을 전한 자입니다.
-. 광야에서 살아가는 우리는 살아갈 때, 소명을 받은대로 움직이고, 순종하고 복종하며 반응하며 살아가는 것입니다.
-. 말씀.(눅3:3)
3 요한이 요단 강 부근 각처에 와서 죄 사함을 받게 하는 회개의 1)세례를 전파하니
-. 부름 받아 사명을 감당한 요한; 회개 세례를 전파하는 사람
-. 말씀.(롬6:4)
4 그러므로 우리가 그의 죽으심과 합하여 1)세례를 받음으로 그와 함께 장사되었나니 이는 아버지의 영광으로 말미암아 그리스도를 죽은 자 가운데서 살리심과 같이 우리로 또한 새 생명 가운데서 행하게 하려 함이라
* -. 죄사함을 입을 때 얻는 것 = 죄에 대해 죽는 것 = 세례 = 예수님의 죽으심 = 새롭게 산다 = 물로 죄를 씻어 성령으로 살아가는 것
-. 죄에 대해 죽고 의에 대해 사는 것 * 마음의 할례를 받는 것 (순결하고 성결하도록)
* -. 세례 = 사망에서 생명으로 건짐 받아 새롭게 되는 날 = * 회개
-. 세례의식 = 하나님의 자녀됨을 공표하는 날인 것입니다. = 속죄받는 날 = 회개
-. 회개 = 우리의 힘으로 되지 않는 새로운 회복 성령으로 우리를 회복시키사 거룩하게 하는 것
* -. 회개 = 성령충만 = 정결케 하옵소서 = 죄악을 물로 씻고 불로 태우소서 예수님의 그리
-. 죄에 대해 우리는 자유하지 않습니다.
-. 세례의 목적은 죄악된 세상가운데 진정한 해방을 주기 위함입니다. 세례요한은 진정한 자유는 복된 진리, 말씀에 있다는 것을 전파하고 있는 것입니다.
2. 광야에서 외치는 사람; 세례요한
-. 말씀.(롬6:4-6)
-. 말씀.(눅3:4-6)
-. 광야에서 외치는 사람은 모든 것을 메울 만큼 은혜가 충만하게 외치는 것입니다.
-. 죄악으로 꼬인 자에게 믿음의 사명자들을 충만한 은혜로 그것을 펴주는 것입니다.
-. 광야에서 외침이 있을 때에 난관까지도 제거하게 되는 것입니다.
-. 외칠 때에 구원하시는 하나님의 뜻을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.
* -. 우리도 예수님께서 다시 오실 때까지 회개와 복음을 외치는 자가 되어야 하는 것입니다.
• 우리중에 이루어진 사실에 대하여 (그리스도를 예비하는 세례요한)
-. 하나님께서는 주신 말씀을 받은 사람; 세례요한
-. 세례 = 사망에서 생명으로 건짐 받아 새롭게 되는 날 = * 회개
-. 죄사함을 입을 때 얻는 것 = 죄에 대해 죽는 것 = 세례 = 예수님의 죽으심 = 새롭게 산다 = 물로 죄를 씻어 성령으로 살아가는 것
-. 회개 = 성령충만 = 정결케 하옵소서 = 죄악을 물로 씻고 불로 태우소서 예수님의 그리
-. 광야에서 외치는 사람; 세례요한
-. 광야에서 외치는 사람은 모든 것을 메울 만큼 은혜가 충만하게 외치는 것입니다.
댓글0개